반응형
저는 월급쟁이라 그냥 급여에서 세금이 빠져나가는 줄만 알고 있었지 어떻게 어떤 세금이 나가는 지 모르고 살았습니다.이번 기회에 세금 부담 주체에 따라 분류 할 수 있는 직접세와 간접세의 의미와 차이 그리고 각각의 장단점을 알아봤습니다.
1. 서론
세금은 정부의 재정 수입을 확보하고 사회경제적 정책을 수행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한국의 세금은 크게 직접세와 간접세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납세 방식과 부담 구조에 있어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세금 구조의 특징을 직접세와 간접세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세금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며,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합니다.
2. 본론
- 2.1 직접세
ⓐ정의:납세자가 직접 정부에 납부하는 세금
ⓑ대표적인 세금 : 소득세,법인세,상속세,증여세,종합부동세,재산세 등
ⓒ예시
- 김씨가 연가 6천만원의 소득을 얻었을 경우, 소득세율에 따라 소득세를 납부 합니다.
- A회사가 연간 1억원의 이익을 얻었을 경우, 법인세율에 따라 법인세를 납부 해야 합니다.
- 박씨가 부모로 부터 10억원의 상속을 받았을 경우 , 상속세율에 따라 상속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 2.1.1 직접세 장점
납세자의 능력에 따라 부담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소득 재분배 기능을 수행하여 사회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 2.2 간접세
ⓐ정의: 물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에 포함되어 납부되는 세금
ⓑ 대표적인 세금: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교육세, 교통세, 지방교육세
ⓒ예시
- C씨가 편의점에서 1만원짜리 라면을 구매했을 경우, 1천원의 부가가치세를 납부합니다.
- D씨가 5000만원짜리 자동차를 구매했을 경우, 개별소비세율에 따라 개별소비세를 납부합니다. - 2.2.1 간접세 장점
재화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세금 징수가 쉽습니다.
소비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2.2.2 간접세 단점
납세자의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부담됩니다.
저소득층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구분 | 직접세 | 간접세 |
정의 | 납세자가 직접 정부에 납부하는 세금 | 물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에 포함되어 납부되는 세금 |
대표적인 세금 |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 부가가치세, 특별소비세, 주세, 교육세, 교통세, 지방교육세 |
장점 | 납세자의 능력에 따라 부담을 조절할 수 있음, 소득 재분배 기능 수행 | 징세 비용이 저렴, 소비 억제 효과 |
단점 | 납세자의 불만 유발 가능성, 탈세 가능성 | 납세자의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부담, 저소득층에게 상대적 부담 증가 |
3.결론
직접세와 간접세는 각자의 특징과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의 재정 수입과 사회 정책 수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코로나 이후로 세수 재정이 부족하다는 소식이 많이 들리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직접세와 간접세의 차이점과 내용을 알고 싶어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었음 좋겠습니다.!
반응형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수지 (1) | 2024.02.25 |
---|---|
경기변동의 원인과 영향 (0) | 2024.02.22 |
가계부채 뜻 ,증가 원인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4.02.20 |
지디피(GDP) 순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023년 기준 (0) | 2024.02.17 |
GDP는 무엇 일까? <1부>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