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경상수지

by 이코디깅 2024. 2. 25.
반응형

경제 뉴스나 기사에서 경상수지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습니다. 경상 수지가 무엇이고 어떤 데이터로 만들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상수지 안내사진
대표 사진


 

1. 경상수지란 ?

  • 경상수지의 개념 및 정의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수출과 수입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반도체를 수출을 하고 석유나 그밖에 에너지 자원을 수입을 하죠 이러한 수출 수입 간의 차를 경상수지라 합니다. 아래 한국은행의 설명을 참고하시죠 


  • 경상수지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
    ⓐ상품수지: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서 발생하는 국제 거래를 나타냅니다.
    ⓑ서비스수지: 외국과의 서비스 거래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보여줍니다.
    ⓒ소득수지: 노동소득이나 투자소득으로 벌어들인 돈과 나간 돈의 차액을 나타냅니다.
    ⓓ경상이전수지: 무상 원조 등 대가가 따르지 않는 국제 거래 수지를 의미합니다.

  • 경상수지의 중요성과 역할
    국가의 경제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무역 흑자를 유지하는 것이 경제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경상수지  활용도

  • 경상수지를 통하여 우리나라 경제의 소득, 고용, 외채, 통화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가 경제 구조에서는 중요한 지표라 생각됩니다.

  • 경상수지 중 상품 및 서비스수지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 수출 품목이 늘어나면 그 과정에서 일자리와 소득이 증가합니다.
    반면에 수입 품목이 늘어나면 수출이 늘어나는 것과 반대로 물건을 사 오기 때문에 일자리가 늘어나거나 소득이
    늘어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품 및 서비스수지는 고용과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

  •  

3. 경상수지 해석 방법

  • 경상수지 흑자라는 말은?
    외국에 판 재화와 서비스가 사들인 것보다 많으므로 수출을 통해 늘어나는 소득과 일자리가 수입을 통해 줄어드는 소득과 일자리보다 크게 되고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그만큼 국민소득이 늘어나고 고용이 확대 상황을 말한다.
    ※ 수입 < 수출, 수출이 늘기 때문에 관련 산업과 일자리 수요가 늘기 때문에 국민소득이 늘어난다.

    또한 경상수지가 흑자를 보이면 벌어들인 외화로 외국으로부터 들여온 빚을 갚아 나갈 수 있게 되어 외채가 줄어들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주요 원자재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하거나 무역마찰을 피하기 위해서 해외에 직접투자 증가 가능하다.

  • 경상수지 적자라는 말은?
    소득이 줄어들고 실업이 늘어남과 동시에 외국빚이 자꾸 늘어나 원금상환과 이자부담 증가하는 현상이다.
    ※반도체 같은 핵심 산업분야가 수출이 줄어들게 되면, 자연스럽게 일자리는 줄어들고 국민소득도 같이 낮아진다.

  • 유의점
    흑자가 반드시 좋다고만 할 수도 없다고 합니다. 이는 국내통화량을 증가시켜 통화관리를 어렵게 하고 통상측면에서는 우리가 흑자를 내고 있는 교역상대국으로 하여금 우리나라의 수출품에 대해서 수입규제를 유발하는 등 무역마찰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같이 해외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국민소득을 증대시키고 국내고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준의 흑자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맺음글

경상수지의 분석과 해석은 국가의 경제적 건전성을 평가하고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경상수지의 개념, 구성 요소, 중요성, 그리고 해석 방법에 대해 다루어 봤습니다.
한국의 경상수지 증감표는 아래에서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경상수지 통계 확인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