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가계부채 뜻 ,증가 원인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by 이코디깅 2024. 2. 20.
반응형

단순하게 빚이라고만 생각했던 가계 부채에 대해 조사해 봤습니다.

가계부채의 개념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보시죠~!!

 

 

 

가계부채 안내 대표 이미지
가계부채 안내 이미지


1. 가계부채란?

가계가 보유한 부채의 총액을 의미하며, 주택담보대출, 소비자대출, 신용카드 대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경제 성장과 소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증가하면 경제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가계부채의 개념, 증가 원인, 경제 지표와의 관계, 그리고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2. 가계 부채 개념

가계부채는 가계가 금융기관이나 다른 기관으로부터 빌린 돈의 총액을 의미하며, 주택담보대출, 소비자대출, 신용카드 대출, 학자금 대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됩니다. 가계의 자산과 함께 가계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3. 가계부채 증가 원인

최근 한국의 가계부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3년 12월 기준 가계부채 총액은 1,098조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증가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 가격 상승: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증가
ⓑ 저금리 시대: 저금리로 인한 소비자 신용 대출 증가
ⓒ 소비 증가: 소비문화 변화와 편리한 결제 시스템으로 인한 소비 증가
ⓓ 사회 안전망 부족: 노후 대비, 교육비 부담 등으로 인한 부채 의존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의 대부분은 첫 번째 항목인 주택담보대출로 알고 있습니다.

워낙 자산 비중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치우쳐져 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나도 그렇고, 친구도 , 가족들 대부분이 주택 구입 자금이던,

전세자금이던 주택에 관련된 대출이 다 있습니다 ㅠㅠ

4. 경제 지표와의 관계

4.1. 소비 지출: 소비 지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계부채 증가는 소비 지출 증가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가계부채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GDP대비 가계대출 비율 추이 표 <출처 연합뉴스>



4.2. 부동산 가격: 가계부채 증가는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이어져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은 다시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져 악순환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계대출과 서울주택가격의 상관관계



4.3. 금융 시스템 안정성: 과도한 가계부채는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 악화는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증가로 이어져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경제에 미치는 영향


5.1. 긍정적 영향

소비 지출 증가: 가계부채 증가는 소비 지출 증가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투자 증가:  주택, 교육 등 투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대출 금리를 낮춰 유동성을 증가시키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겠죠~?)


5.2. 부정적 영향소비 위축: 과도한 가계부채는 부채 상환 부담으로 인해 소비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금융 시스템 불안정: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 악화는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 저해: 과도한 가계부채는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최근에 기준금리가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볼 수 있죠? 금리가 높아지자 영끌로 투자했던 사람들이 이자 부담을 느껴 대출 이자를 못 내고, 부동산 PF대출을 무리하게 받은 기업이 어려워지고~

우린 코로나 이후 경제적으로 이런 사회 현상들을 보면서 공부를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당 ~)

6. 맺음글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성장과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과도한 가계부채는 소비 위축, 금융 시스템 불안정, 경제 성장 저해 등 다양한 부정적 영향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노력은 개인, 기업, 정부 모두에게 중요해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