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담합 뜻 : 원리와 역사 관련 사건들

by 이코디깅 2024. 5. 20.
반응형

경제 활동의 핵심은 공정한 경쟁입니다. 기업들이 서로 경쟁을 통해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은 이로부터 혜택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적인 시장 원칙을 무너뜨리는 행위가 있습니다. 바로 담합입니다. 담합은 경쟁 기업들이 서로 협력하여 가격을 인상하거나 생산량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장을 통제하는 행위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담합의 뜻과 원리를 분석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담합 사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담합 뜻 안내 이미지
담합 뜻 안내

 

담합의 뜻

담합이란 경쟁 기업들이 서로 협력하여 가격을 인상하거나, 생산량을 조절하거나, 시장을 분할하는 등의 방법으로 경쟁을 제한하고 시장을 통제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시장 경제의 기본 원칙인 자유 경쟁을 저해하며, 소비자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담합의 원리

담합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격 협정: 경쟁 기업들이 모여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동일하게 책정합니다. 이를 통해 가격 경쟁을 없애고 더 높은 가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항공사가 동일한 노선의 항공권 가격을 협의하여 인상할 수 있습니다.
  2. 생산량 조절: 기업들이 생산량을 줄이기로 합의하여 시장에 공급되는 제품의 양을 제한합니다. 이로 인해 제품의 희소성이 높아져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석유 산업에서 주요 산유국들이 모여 생산량을 조절하는 오펙(OPEC)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3. 시장 분할: 기업들이 각자 특정 지역이나 고객군을 나누어 담당하여 경쟁을 피합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은 서울, B기업은 부산을 담당하는 식입니다. 이를 통해 각 기업은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담합의 역사

담합은 산업혁명 이후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했습니다. 특히 19세기말과 20세기 초, 대기업들이 서로 경쟁을 피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담합을 하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 19세기말: 미국의 철도회사들이 운임을 담합하여 가격을 조작했습니다. 이는 소비자와 다른 산업에 큰 피해를 입혔고, 결과적으로 정부의 규제 필요성을 부각했습니다.
  • 셔먼 반독점법(1890): 미국에서 제정된 이 법은 담합과 같은 반경쟁적 행위를 불법화하였습니다. 존 D. 록펠러의 스탠더드 오일이 대표적인 사례로, 이 법을 통해 분할되었습니다.
  • 20세기 초: 유럽에서도 담합이 일반적인 행위로 여겨졌습니다. 독일의 카르텔은 대규모 담합의 한 예입니다. 이로 인해 각국 정부는 반독점 법안을 강화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담합 사건들

  1. 다우 케미컬 사건(1983): 화학 산업의 거대 기업 다우 케미컬이 경쟁사들과 가격을 담합하여 수십억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화학 제품의 가격이 인위적으로 높아졌음을 보여줍니다.
  2. 비타민 담합 사건(1999):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비타민 제품의 가격을 담합하여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높은 가격을 부과한 사건입니다. 이로 인해 약 5억 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초래했습니다.
  3. 전자제품 담합 사건(2012): 삼성전자, LG전자 등 여러 전자제품 제조사들이 LCD 패널의 가격을 담합하여 벌금을 부과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전자제품 가격이 인위적으로 높아져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 사례입니다.

담합의 영향

담합은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가격이 인위적으로 높아지고, 선택의 폭이 좁아지며, 경제 전반의 효율성이 저하됩니다. 또한, 담합은 혁신을 저해하고, 기업 간의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여 장기적으로 시장의 발전을 저해합니다.

규제 및 법적 대응

많은 국가에서는 담합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무거운 벌금과 법적 제재가 뒤따릅니다. 예를 들어:

  • 미국: 셔먼 반독점법 외에도 클레이튼 반독점법, 연방무역위원회법 등이 있습니다. 이 법들은 담합, 독점, 불공정 거래를 금지합니다.
  • 유럽연합: 경쟁법(Competition Law)을 통해 담합을 강력히 규제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담합을 적발하여 막대한 벌금을 부과합니다.
  • 한국: 공정거래법을 통해 담합을 규제하고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를 집행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