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49 이더리움의 역사 < 연도별 정리> 이더리움 역사 (수치화된 자료 포함) 1. 이더리움의 탄생 (2013년 - 2015년)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이 이더리움 백서를 발표합니다. 2014년: 이더리움 플랫폼 개발 시작 및 이더리움 암호화폐(ETH) 프리세일 진행. 2015년: 프론티어 네트워크 출시, 이더리움 가격 상승세 시작. 2. 성장과 발전 (2016년 - 2020년) 2016년: DAO 사건 발생, 이더리움 하드포크 진행. 2017년: 메트로폴리스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ERC-20 토큰 표준 발표, DApps 개발 활발하게 진행. 2018년: 베어마켓으로 인해 이더리움 가격 하락. 2019년: 콘스탄티노플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이스탄불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2020년: DeFi(Decentralized Finance) 열풍으로 이.. 2024. 3. 18. 비트코인의 역사 <연도별 정리> 최근 비트코인이 실물 ETF에 가입이 되면서 , 다시 급등을 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에 대한 주요 사건을 연도별로 정리해봤습니다. 관심 있어하시는 분은 아래 내용 참고 해주시면 됩니다. 1. 비트코인의 탄생 (2008년) 2008년 10월 31일: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의 인물이 비트코인 백서를 발표합니다. 2009년 1월 3일: 최초의 비트코인 블록인 제네시스 블록이 채굴됩니다. 2009년 1월 12일: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당시 10,000개의 비트코인이 2개의 피자와 교환되었습니다. 2. 초기 성장 (2009년 - 2013년) 2010년: 비트코인 마켓이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2011년: 비트코인 재단이 설립됩니다. 2012년: 첫 번째 비트코인 ATM이 설치됩니다.. 2024. 3. 18. 헷지(Hedge)뜻은? 시장에서 활용하는 기본 정보와 예시 헷지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의미합니다. 투자자들은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여 위험을 분산시키지만, 헷지는 특정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른 손실 가능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를 위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에 투자하거나 파생상품을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1. 헷지의 장점 투자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감소: 헷지는 특정 자산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보완하여 전체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위험 관리: 투자자들은 헷지를 통해 위험 감수 수준을 조절하고,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투자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수익 기회 창출: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도 헷지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2. 헷지의 종류 자산 헷지: 특정 자산의 가격.. 2024. 3. 11. 가격연동제란? 가격연동제는 특정 상품의 가격을 다른 상품의 가격과 연관 지어 결정하는 시장 가격 제도입니다. 서로 대체재라고 할 수 있는 재화들의 공급과 수요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가격연동제는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산비 연동제 1.1. 원유가격연동제 개요: 국제 시장 원유 가격에 따라 국내 휘발유 및 경유 가격을 결정하는 제도 장점: 국제 시장 가격 변동을 국내 가격에 투명하게 반영하여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 국내 정유업체의 손실 위험 최소화 국제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의 부담 완화 단점: 국제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국내 가격 변동성 증가 소비자의 예산 계획 어려움 국내 정유업체의 경쟁력 약화 1.2. 낙농업의 우유가격연동제 개요: 생산비 변동에 따.. 2024. 3. 11.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