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갑기금과 을기금 뜻: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자본 운용 이해하기

by 이코디깅 2024. 6. 7.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코디깅입니다. 오늘은 금융 용어 중에서도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자본금에 해당하는 갑기금(Capital A)과 을기금(Capital B)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용어는 외국은행이 국내에서 어떻게 자금을 운용하고 관리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갑기금(Capital A)이란?

갑기금은 외국은행이 한국에서 지점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금입니다. 갑기금에는 세 가지 주요 출처가 있습니다:

  1. 본점이 한국은행에 외화를 매각하여 공급한 원화 자금: 외국은행 본점이 국내 지점을 위해 한국은행에 외화를 팔고, 그 대가로 받은 원화를 지점에 공급합니다.
  2. 지점의 적립금에서 전입된 자금: 국내 지점이 운영을 통해 적립한 자금을 갑기금으로 전환합니다.
  3. 추가 지점 설치를 위한 기존 지점의 이월이익잉여금: 새로운 지점을 설치하기 위해 기존 지점의 이익잉여금을 갑기금으로 전환합니다.

갑기금은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각 지점별로 최소 30억 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예시

예를 들어, 미국에 본점을 둔 ABC 은행이 서울에 지점을 열려고 합니다. 본점은 한국은행에 100만 달러를 매각하고, 그 대가로 받은 원화를 서울 지점에 갑기금으로 공급합니다. 이 자금은 서울 지점이 초기 운영을 시작하고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는 데 사용됩니다.

을기금(Capital B)이란?

을기금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이 자본금을 확장하여 여신기능(대출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금입니다. 을기금은 대차대조표에 명목상의 자본금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주로 두 가지 출처에서 형성됩니다:

  1. 외화자금을 환매조건부로 한국은행에 매각하여 보유한 원화자금: 외국은행이 한국은행에 외화를 팔고 다시 사는 조건으로 원화를 확보합니다.
  2. 본점 또는 국외지점으로부터 상환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조건으로 차입한 자금: 외국은행 본점이나 다른 지점에서 장기 차입한 자금을 국내에서 운용합니다.

을기금은 대차대조표상의 자본총계의 20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예시

서울에 있는 ABC 은행 지점이 국내 기업에 더 많은 대출을 해주기 위해 을기금을 활용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지점은 본점에서 2년 만기로 500억 원을 차입하고, 이를 을기금으로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대출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마무리

갑기금과 을기금은 외국은행이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자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자본금입니다. 갑기금은 지점 설치와 운영을 위한 기본 자본이고, 을기금은 대출 등의 여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자본입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면 금융 시스템과 외국은행의 운영 방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제 공부를 하면서 이러한 금융 용어들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이코디깅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